서울 서초구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숨진 사건을 두고, 일각에서는 오은영 정신의학과 박사에게 화살이 가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오은영 박사가 학부모들 여럿 망친 것 같다’는 글이 올라왔다.

오 박사의 교육관은 자녀는 어떤 상황에서도 상처받지 않고 존중받아야 할 존재로 규정짓는데, 그러다 보니 체벌도 없고 남에게 피해 주는 일까지도 존중해 주고 공감하니 아이들 버릇이 없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글을 본 누리꾼들은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오 박사처럼 전문가일 때나 체벌 없는 훈육이 가능하다’ 등 글쓴이 의견에 공감하는 반응이 나오는가 하면, ‘때리지 말랬지 훈육하지 말라고 했냐’며 오 박사를 옹호하는 의견도 있다.

또한, 오은영 박사의 저서 중 일부 문구도 인터넷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해당 문구 내용은 ‘담임선생님이 나랑 안맞을 때 대처법’으로 ‘교사의 입에서 “조심하겠다”라는 말을 듣고 돌아와야 한다.
학기가 얼마 안남았으면 좀 참긴 하는데 교감이나 교장을 찾아가보도록 하세요.
아이가 너무 예민한 편이니 다음 해에 담임교사를 배정할 슌 고려해달라고 부탁합니다.
교장이나 교감이 봤을 때 그 아이와 덜 부딪힐 만한 교사를 골라 반을 배정해 줄거예요’라고 설명한 부분이다.
네티즌들은 “오은영이 학부모가 담임 선생님을 괴롭히는 방법을 상세하게 가이드 라인 해주고 있다”며 “앞뒤 문맥 상관없이 저 문구만 보고 학교에 저대로 대응하는 학부모들이 많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서천석 서울대 박사는 자신의 SNS에 초등학교 내에서 일어난 교권 침해 문제와 관련해 “일반적 교권 침해 문제는 그 문제대로 강력한 해결책을 만들어야 한다”라며 논란의 화두를 던졌다.
서천석 박사는 “금쪽이 류의 프로그램들이 지닌 문제점은 방송에서 제시하는 그런 솔루션으로는 결코 해결되지 않을 사안에 대해서 해결 가능하다는 환상을 만들어내는 것”이라며 “매우 심각해 보이는 아이의 문제도 몇 차례의 상담, 또는 한두 달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듯 꾸민다”고 지적했다.
이어 “만약 그것이 가능하다면 그렇게 해결 못하는 부모와 교사에게 책임이 갈 수밖에 없다. 실력이 부족하든, 노력이 부족하든 둘 중 하나다. 그런데 정말 그런가? 정신과 의사라면 알고 있다. 그리 간단한 것이 아니라는 것쯤은”이라며 “그런 진실을 말해야 하는데도 프로그램은 흥행 내지 권위를 위해 의도적인지 아닌지 은연 중에 그러는지 환상을 유지하려 든다”고 비판했다.